|
2020.12.30 09:47
법우님 불자님 안녕하세요.
누구나 그러했겠지만 올 한해 나는 역병의 창궐과 집안의 복잡한 일 때문에 참으로 분주한 나날을 보냈습니다.
특히 그 두 가지가 지금도 그렇지만 올해 내내 언제나 진행형이며 익심형(益甚形)이었기에 더 분주한 나날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는 속담처럼 그 와중에도 숨돌릴 탁족처(濯足處)는 있었으니 짐작들 하시겠지만 바로 우듬지였습니다.
마음을 쉬러 부지런히 오르면서, 물심 양면으로 애써주고 걱정해주셨던 오불회 불수회 유불회 인불회 영남경전 강독회의 많은 법우들을 떠올리며 늘 고마워하고 있답니다. 이 자리를 빌어 우리 구차제정 실수도량 법우들의 공덕 앞에 감사드립니다.
특히 올해는 역병으로 우리 법회의 거진 반을 비대면 법회로 봉행했거니와, 그럼에도 정진의 고삐를 놓치지 않고 일로매진한 법우들에 대해 높이 치하합니다.
사실 한해를 마감하는 금번 마지막 주는 나로서는 나름 의미 있는 날이었습니다. 어느 듯 우듬지를 모두 100 여회에 걸쳐 올랐더군요. 그중 절반은 올해에 올랐으니 2020년에는 거의 매주 들린 셈이죠.
그렇게 100회를 넘어 채우는 순간 유달리 떠오르는 법우님 불자들이 있었습니다.
그 첫째는 우리 실수도량 인불회 회장인 법륜거사이니, 아마도 나와 같이 우듬지에 가장 많은 횟수를 올랐고 우듬지를 방치된 야산에서 쓸만한 공간으로 정돈하는 데 자신의 사정을 돌보지 않았던 까닭입니다.
그리고 둘째는 대전 보현불교대학의 이 거사이니 그렇게 정돈된 우듬지를 실제 공부할 수 있는 도량으로 만들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좌선할 수 있는 누대와 더불어 산막을 지어 날이 춥든 덥든 비가 오든 개든 전천후로 공부할 수 있게 해준 큰 공로자입니다.
더불어 셋째는 인도에서 공부하는 수휴이니, 여기 있으면서 나와 함께 우듬지에 왔다 갔다 할 때는 몰랐는데, 여기에 없으니 그 빈자리가 결코 적지 않게 느껴졌습니다.
물론 그 외도 도움 된 법우들의 공로를 일일이 나열하면 하루 종일 말해도 다 못할 것이니 앞서도 언급했지만 다들 감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거사들을 특히 언급한 것은 그들이 단순히 내일을 도와주었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금강경>> 제18 일체동관분에서 부처님과 수보리는 세상의 모든 것은 공존(saṃvidyate)한다고 설하셨습니다. 그런데 공존은 단순히 위치를 함께한다고 공존이 아닙니다. 독존(獨存) 독선(獨善)의식을 버리고, 상호간에 공유(共有)하고, 공개(公開)하고, 공조(共助)해야 그것이 공존입니다.
위의 세 거사는 바로 그런 공유 정신과 공개주의와 공조의식이 남다른 자질로 내게 각인되었기 때문입니다.
<증지부>의 <<소금덩이경(Loṇaphala sutta>>에서 부처님은 아무리 짠 소금 덩어리라도 갠지스 강을 짜게 할 수는 없다시며, 아무리 큰 고비라도 자아의 사이즈가 큰 사람을 몰락시킬 수 없다는 취지의 말씀을 베푸십니다. 공유정신과 공개주의와 공조의식으로 장엄된 공존의 덕목을 지닌 사람은 이미 그 사이즈가 장대 심후한 사람이니 사람들 중에 귀한 사람일 것입니다.
오는 새해에는 나도 그렇고 우리 법우님들도 이 덕목들을 더욱 함양하여 올해보다는 좀 더 큰 자아로 성장합시다. 그리하여 하는 일마다 갠지스 강의 물처럼 무장애하게 술술 흘러가기를 기원합니다.
2020.12.30 21:39
2020.12.31 06:50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신 "공유 정신, 공개주의, 공조 의식" 이 세 가지를 더욱 증장시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요즘 들어 남을 배려하려는 마음이 줄어들고, 남들과의 공조가 번거러워 홀로 모든 일들을 해결 하려고 하고, 내 이익만 챙기려고 하고, 나의 편함을 추구하려는 마음이 늘어만 가는 것을 느낍니다.
선생님의 가르침이 내려치는 죽비처럼 저를 다시금 깨우쳐 주십니다.
새해에 이 덕목들을 더욱 잘 갖추어서 보다 큰 자아를 가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선생님의 가르침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수휴 합장
2020.12.31 12:56
"갠지스 강의 물처럼"
여여하게 살고자 하는데 또 한 해를 돌아 보니 여전히 삼독심을 버리지 못 하였습니다.
진정한 <공존> 덕목을 유념하며 갠지스 강과 같은 큰 자아를 만들어 가는 목표를 가지고
새 해를 맞이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01.01 09:37
선생님, 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면서, 《금강경》제18 일체동관분과〈증지부〉《소금덩이경》의 말씀을 인용하여, 귀한 말씀을 베풀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공존(共存)하는 덕목 -공유(共有), 공개(公開), 공조(共助)-을 지니어
자아의 크기가 큰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나무석가모나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석가모니불!
2021.01.01 11:58
선생님, 새해를 맞이하여 좋은 법문 감사 합니다
점점 작아 지는 자아를 공존 하는 덕목으로 자아의 크기를
크게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2021.01.01 17:57
선생님, 새해 법문 감사드립니다. 끊임없이 정진하겠습니다. 관세음보살
2021.01.01 20:40
* 새해의 법문 , 고맙습니다.금강경과 소금덩이 경의 덕목들에 대한 진지한 사유를
더 거치도록 하겠습니다. 올 한해 건안하시고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 백담 합장
2021.01.02 01:28
선생님의 새해 법문 감사드립니다.
"공유.공개.공조가 진정한 공존이다". "자아의 크기를 키우는 덕목이다"
공존의 의미를 사유해 보겠습니다.
2021.01.02 13:55
법륜거사님, 대전 보현불교대학의 이거사님, 인도에서 정진하는 수휴거사님.
세 분 도반님께 고마움의 절 올립니다. 더욱 건안하시기 바랍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2021.01.03 18:21
공유 공개 공조...
이 가르침을 기억하겠습니다.
스승님 말씀처럼 좋은 도반들이 이 도량에 함께 있어서 저도 큰 힘이 됩니다.
스승님께서 어떤 마음으로 우듬지에 가셨는지 짐작조차 할 수 없지만,
저에게 있어 스승님과 이 도량이 우듬지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불치병을 두 개나 가지고 살면서, 극단적인 선고를 받거나 큰 두려움에 직면할 때도 많았지만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잘 살아가고 있습니다.
저는 스승님과 가르침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 조금씩 성장해가고 있는 자신을 느끼고 있습니다.
연말에는 제가 운영하는 학교와 제가 교육혁신에 이바지 한 공로로 교육감 표창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동안 늘 어리석고 게으른 모습만 보여드려서 죄송합니다.
스승님께서 잡아주시는 덕분에 겨우 한 걸음씩 걸음마를 하고 있는 처지이지만 언젠가 스스로 설 날도 있을 거라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해에도 늘 건강하신 모습을 뵙게 되길 기원하면서 절 하옵니다.
문수올림
2021.04.03 03:15
어수선한 시기에 가르침을 등불삼아 묵묵히 어둠을 헤쳐나가도록 정진하겠습니다.
"세상의 모든것은 공존하니 상호간에 공유하고, 공개하고, 공조해서
< 금 강 경 > 일체 동관분에서의 말씀처럼 공존의식으로 장엄하고"
보시 와 복덕을 많이 지으면서 ' 자아의 사이즈' 를 키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나무 관세음보살 나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