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05.12 22:55
영상강의
음성강의
2017.05.15 16:28
2017.05.16 00:49
삶의 마지막 순간 부처님이 떠오르길 염원하며 염염 불망하겠습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2017.05.17 02:24
스승님, 감사합니다.. ()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석가모니불()
2017.05.21 06:59
잘오고 잘가는법
열심히 부처님을 염하며 정진하겠습니다
관세음보살( )
2017.05.24 00:42
고맙습니다 실천하는 불자가 되겠습니다 관세음보살()()()
2017.05.30 06:33
고맙습니다. 열심히 정진하겠습니다
2020.08.15 00:19
약간의 병고 속에 불면의 밤을 보내며 스승님의 법문을 듣습니다. 늘 물을 마시듯 염불하고 공부하고 보시하고 포교하라는 말씀을 들으며 몸도 마음도 가벼워짐을 느낍니다. 아슈람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Ⅲ.오고 감
*부처님은 오고 가며 가르치신 분이다.
Q:그러면 뭘 가르치느냐?
A:오고 가는 것을 가르치신다.
*오고 감
①세상만법은 오고 갈 뿐이지 머물지 않는다.
-부처님 깨달음은 오고 감 속에서 이루어진다.
②오고 갈 뿐이지 없어지지 않는다.
-술이 식초로 되지만 없어지지 않는다.
③머무는 것이 없이 오고 가며 되풀이 되는 경향이 있다.
ex)우주는 성주괴공, 인생은 생노병사, 세상만법은 생주이멸.
*어차피 왔다 가려면, 잘 왔다가 잘 가야 한다.
-잘 왔다가 잘 가는 것, 그것이 道이다.
Ⅳ.그러면 잘 오고 잘 가는 법은?
* 여여하게(如如하게 tatha agata)이다.
-여여하게(如如하게 tatha agata)의 뜻은
늘/항상/ 언제나/한결 같이 해야 되는 것을 의미한다.
*잘 오고 잘 가면 열반이고 잘못 오고 잘못 가면 윤회이다.
*올 때도 그것 하러 오고 그것 하고 오며, 갈 때도 그것 하러 가고 그것 하고 가며,
늘 항상 여여한 방식으로 오고 가야한다.
Ⅴ.‘그것’이란 무엇인가?
①염불 -물 없이 못 살 듯이 행자는 염불해야 한다.
㉠최초의 일념
-어떤 일을 당하여 최초로 떠오르는 생각이 부처님이어야 한다.
㉡최후의 일념
-삶의 마지막 순간 부처님이 떠올라야 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선, 하루 마지막 생각, 잠들기 전 생각이 부처님으로 끝나야 한다.
㉢염염불망(念念不忘)의 염불
-생각 생각에 부처님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야 한다.
②공부-혼자 공부하는 것은 위험하다.
-옛 선사들께서‘도반 한 명은 열 스승의 몫을 한다.’고 하셨다.
㉠교리법회- cf.)법회란 공부하는 모임
㉡독송법회-반드시 경전을 독송해야 한다.
(∵경전은 모든 정보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수행법회-스스로 체험을 위해서 해야 한다.
③보시
㉠(부처님에 대한) 불사(佛事)
㉡(도량의 재정에 대한)시주
㉢(이웃에 대한)봉사
④포교(=권선)
㉠염불 권하고
㉡공부 권하고
㉢보시를 권하라.
***스승님, 고맙습니다.
귀한 법문 잘 들었습니다.
의미와 형식을 잘 갖춘 법문입니다. (보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