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02.22 01:10
안녕하세요
마하나와아슈람입니다.
학부강좌 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학부강좌 도서실을 개관 하였습니다.
학부강좌내의 근본불교의 가르침에 대한 녹취록을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학부강좌회원분 께서는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위치]
학부강좌 >> 학부강좌 도서실
[현재까지업데이트 된 내용]
[녹취록] 학부강좌 근본불교의 가르침 녹취록입니다. [[ 근본불교의가르침 1~7강]] V01
[녹취록] 학부강좌 근본불교의 가르침 녹취록입니다. [[ 근본불교의가르침 8~24강]] V01
[녹취록] 학부강좌 근본불교의 가르침 녹취록입니다. [[ 근본불교의가르침 25~44강]] V01
[녹취록] 학부강좌 근본불교의 가르침 녹취록입니다. [[ 근본불교의가르침 45~73강]] V01
[녹취록] 학부강좌 근본불교의 가르침 녹취록입니다. [[ 근본불교의가르침 74~81강]] V01
[상세 내용]
[들어가며]
제1강 공자, 예수 그리고 부처님
제2강 강좌의 전체 구성
제3강 불교흥기시대의 인도
제4강 불교시대구분 중 초기불교와 부파불교
제5강 대승불교의 시대 구분
제6강 초기대승불교 경전의 불설 인정
제3강 불교흥기시대의 인도
제7강 초기불교와 초기대승불교 경전의 성립
[철학과 종교]
제8강 Religion과 Cultus Deorum
제9강 창조신과 과보신
제10강 Siddhānta-deśanā의 종교
제11강 종교에 대한 바른 해석
제12강 종교학의 필요성
제13강 두 가지 문제 중 일상적 문제
제14강 궁극적 문제 네 가지 중 세 가지
제15강 네 번째 궁극적 문제
제16강 네 번째 궁극적 문제; 죽음과 사후
제17강 궁극적 문제에 대한 해답의 유무
제18강 철학의 침묵
제19강 불교의 침묵과 철학의 침묵의 차이점
제20강 신앙하는 무리의 유무
제21강 의례(儀禮, rite)의 존재 여부
제22강 의례, Danced out의 체계, 정서의 정화
제23강 불교에서의 의례를 통한 번뇌의 정화
제24강 불교의 우수한 종교성
[미신과 종교]
제25강 [제1부 제2장 미신과 종교]를 시작하며
제26강 미신과 샤마니즘의 구별
제27강 샤마니즘이 지닌 원시적 종교성
제28강 샤마니즘의 굿과 종교 의례
제29강 샤마니즘과 불교에 대한 혼동
제30강 영매로서의 샤먼과 고등 종교의 성직자
제31강 미신과 종교의 분별 기준
제32강 고통의 회피는 미신, 그 극복은 종교
제33강 불교, 고통에 대한 최상의 대응 능력
제34강 고통 극복의 체계; 불교의 사성제
제35강 고통의 심각성과 종교의 처방
제36강 종교의 3태 청원태(請願態) 희구태(希求態) 제주태(諦住態)
제37강 염불과 기도의 종교학적 의미
제38강 간증(干證, confession)과 영험담(靈驗談)
제39강 염불이 공덕을 일으키는 구조
제40강 Kratophany, Theophany, Hierophany 형의 종교
제41강 청원태에서 희구태로, 희구태에서 제주태로
제42강 불교학 연구보다는 불교 공부를
제43강 제주태는 절실함과 간절함에서
제44강 불교, 미신을 극복하는 가장 강한 종교
[신앙과 깨달음]
제45강 세 번째 오해, 불교는 과연 어려운 종교인가?
제46강 불교를 어렵다고 느낀 이유 네 가지
제47강 첫 번째 이유-언어적 난관
제48강 언어적 난관의 구체적인 예
제49강 번역의 중요성과 역경의 진실
제50강 두 번째 이유-정전의 방대함
제51강 정전의 방대함과 독송 순서의 혼란
제52강 정전의 방대함에 대한 해소책
제53강 근본 5부 경전(根本五部經典)
제54강 세 번째 이유-불교가 어려운 게 아니고 인생이 어려운 것
제55강 죽음의 문제보다 어려운 문제
제56강 반야바라밀다에서 느끼는 인생 문제의 지난(至難)함
제57강 나의 문제 남의 문제
제58강 마지막 문제 해결을 위해 오탁악세로 회향함
제59강 지견과 방편 바라밀다에서 성취되는 문제의 궁극적 해결
제60강 점진적인 문제 해결에 점점 깊어가는 환희
제61강 놀라운 인생의 의미
제62강 네 번째 이유-문제 해결의 방법
제63강 신앙과 깨달음
제64강 깨달음만이 진정한 신앙을 안겨줌
제65강 원래 볼 수 없고 알 수 없는 문제였을 가능성
제66강 인간 해석의 차이점
제67강 진리에의 인지능력의 계발 가능성
제68강 기독교 자연과학 불교가 보이는 진리에의 접근법에서의 차이
제69강 인식 주관의 변혁
제70강 육안, 천안, 혜안, 법안, 그리고 불안(佛眼)
제71강 어렵고 쉬움의 문제성과 가능 불가능의 문제성
제72강 멀더라도 가능한 길과 쉬워 보이지만 불가능한 길
제73강 세 가지 오해의 불식
[불교의 특징]
제74강 바른 견해를 위한 기초 총정리
제75강 이성적 종교-논리적 특징
제76강 이성적 종교-비판적 특징, 과학적 특징
제77강 깨달음의 필요성-깨달음의 종교
제78강 깨달음의 필요성-성불의 종교
제79강 깨달음의 필요성-자력 종교
제80강 인본주의 종교
제81강 자유주의 종교
다른 자료도 추후에 업데이트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