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자유게시판

인터넷 불교 대학 마하나와 아슈람 열 숟가락 운동
자유 게시판

	강좌교재안내              
	학부강좌 및 대학원 강좌 교재를 출시하였습니다. 
	학습효과에 도움이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자세한사항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마하나와 아슈람은 판매대행만을 하고있습니다.

오래전 '월간 해인'에 기고하신 최봉수 교수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최봉수 교수님과 고익진 박사님과의 대화는 깊은 감동으로 다가옵니다.


내게서 부처님과 경전과 스승은 하나이다스승을 통해서 경전을 만났고 경전을 통하여 부처님을 만나려 하기 때문이다. 80년대의 벽두아직은 꽃샘추위가 앙상한 가지 끝을 휘말아 놓던 어느 봄날 나는 처음으로 병고 고익진 선생님을 만났다수유리의 단칸방에서 독거하시던 그 분을그 때 나는 한 가지 고뇌스러운 의심을 여쭈었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데 이리저리 헤매다가 지친 저 같은 사람도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자 병고 선생님이 질타하셨다.

 

"네 스스로를 그렇게 보지 말라과거 무수한 세월을 선재동자처럼 선근공덕을 심었고 구법난행을 해 온 자로 생각해라그러지 않고서야 어찌 네가 이 만나기 어려운 불교학에 입문하려 했겠는가용맹스럽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마음을 내어라.

 

그렇다그때 오십만 명이 대학 입시를 치루었는데 우리 학과에 입학한 인원은 고작 스무 명이었다나의 용렬한 계산에 따를 때 오십만 분의 이십은 거의 영에 가까웠고그것은 확률상으로 불가능한 일이 벌어진 것을 의미하였다오직 과거 세세생생의 선근공덕에 말미암았음을 믿어도 좋은 것이었다.

다시 여쭈었다.

 

"어떻게 하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까?“

 

깨달음의 가능성은 믿어졌기에 다음으로 깨달음의 방법론을 여쭌 것이다.

 

"부처님의 말씀대로 수행해라."

 

그렇다그밖에 다시 무슨 방법론이 필요하겠는가나의 질문은 새삼스럽기조차 하였다.

다시 여쭈었다.

 

"부처님의 말씀은 무엇입니까?“

 

말씀대로 수행하려면 먼저 말씀의 정체를 파악해야겠기에 던진 질문이었다그때 병고 선생님은 자리에서 일어나셨고서가에서 시리즈로 엮인 것 같은 한 무리의 책들 가운데에서 한 권을 뽑아 보이시며 평생에 잊지 못할 말씀을 하셨다.

 

"말씀은 경전에 있다."

 

그때의 그 책이 바로 팔리Pāli어로 된 남전 아함경 니카야였다. (그 뒤에 이것과 함께 범본 소품반야경과 법화경을 보여 주시며 불설의 시작과 끝이 이 경전에 있음을 가르치셨다)

 

인도에서 흥기한 불교를 지금은 전세계 어디서든지 만날 수 있다그렇다고 하더라도 역시 오랜 전통을 지닌 불교문화권은 아시아 지역일 것이다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연결되는 이른바 북방불교문화권이 있고이에 대해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타일랜드 등지로 전래된 남방불교 문화권이 있다이 남방불교의 큰 공적이 바로 팔리 삼장(巴梨三藏, PāliTipitaka)이라는 불교 경전을 정연한 형태로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경장 율장 논장의 삼장 가운데에 부처님과 그 직제자들의 설법은 경장과 율장에 실려 있다이들이 참된 불교의 정전正典이라 할 만하다이 가운데에 율장은 교단의 생활과 수행의 규범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이에 대해 경장은 그러한 규범의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한다그리고 모든 종교적인 방황을 종식시키고 모든 궁극적인 문제를 해결해내는 깨달음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가르친다따라서 우리의 일차적인 관심은 자연히 경장에 있게 된다이 경장은 모두 다섯 니카야로 편찬되어 있고 이 가운데에 당장 장長 中 상응相應 증지增支 니카야는 북방불교의 한역사아함漢譯四阿含에 대응본을 갖고 있다그런데 소小 니카야만큼은 일부 내용을 빼고는 남방불교의 경장에만 존재한다.

 

불교학계에서는 불교 역사상 가장 빠른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니카야 곧 아함경을 들고 있다이 아함경이야말로 부처님의 육성이 담긴 원초적인 경전이라고 학자들은 입을 모은다바로 이 아함경을 병고 선생님은 나로 하여금 처음 만나게 한 것이다.

 

흔히들 불교가 어렵다고 이야기한다빽빽한 한자어로 씌어진 경전들은 우리의 발걸음을 돌리게 한다어쩌다가 용기를 내어 다가선다 해도 팔만사천이나 된다 하는 방대한 경전들 가운데에 어느 것을 먼저 접해야 할지 선뜻 판단이 서지 않는다그래서 법회를 다녀보고 불교 교양 대학을 나가 보고 하지만역시 알 듯 모를 듯 쉽사리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이 불교인 것 같다.

 

종교는 만남이다부처님을 만나든지 부처님의 경전을 만나든지 만남 속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만남이 꼭 쉬워야 된다는 법은 없지만 그래도 이렇게까지 까다로워서는 안 될 것이다그런데 부처님은 우리 같은 중생에게 끝없는 자비를 지니신다고 한다그러한 자비가 구체화된 것이 부처님의 마흔네 해에 걸친 설법이다그리고 그 설법이 바로 경전으로 정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것이다그렇다면 경전을 만나는 일은 부처님을 만나는 것 그 자체인지도 모른다부처님은 자비이고 자비는 곧 경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먼저어려운 한자어 범어 팔리어로 된 경전들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야 될 필요를 느낀다옮기는 사람은 수고스럽겠지만 한국어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언중言衆들은 그 때에야 비로소 만남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방대한 경전 가운데에 좀더 원초적이고 핵심적인 경전을 엄선하는 작업도 해야 할 것이다경전의 선별 작업은 위험 천만하기 짝이 없지만그래도 바쁘디 바쁜 현대인들은 손에 들어올 만한 양할 때에야 비로소 만나려 하는 까닭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함경은 반드시 뽑혀야 한다가장 원초적이고 핵심적인 경전군 가운데에서도 으뜸이기 때문이다그런데 이 아함경만 해도 방대한 분량을 지닌다한역 아함경만 계산해 보아도 우리말로 옮길 경우 오백 쪽 가량의 보통책 열다섯 권 분량이다여기에 남전 아함경인 니카야도 역시 그만한 부피로 버티고 있다그래서 아함경 안에서도 가능하면 원초적이고 핵심적인 경을 엄선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이러한 필요는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병고 선생님의 힘으로 충족되어져한 권 책 분량으로 아함경 전체를 정선해 내는 개가를 올린 적이 있다.

 

부처님은 깨달음을 이룬 뒤에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다음과 같이 설하신다.

 

"여래는 동등한 자이며 바르고 원만하게 깨달은 자이다제자들이여귀를 기울여라불사不死가 이르렀다나는 설하겠다법을 가르치겠다수행하는 자는 오래지 않아 범행의 궁극을 똑똑히 볼 것이다."

 

누구든지 먼저 아함경을 읽자그리고 설한 대로 수행하자그랬을 때에 오래지 않아 우리도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출처 : http://haein.or.kr/contents/?pgv=v&wno=93&cno=10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열시의 談禪 법회 [14] 관리자 2013.07.29 126785
공지 महानव십호장을 권합니다आश्रम [10] 책임교수 2012.07.12 132893
공지 महानव열 숟가락 운동आश्रम [40] 관리자 2012.11.20 170863
공지 자유게시판 사용안내 [11] 관리자 2012.05.05 151187
486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며 [5] 적조 2017.05.02 1635
485 최봉수 교수님의 동산불교 대학원반, 봄 소풍 사진을 올립니다! [5] 대국 2017.04.19 3910
484 부처님 오신 날 [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 ] [5] 법륜거사 2017.04.17 1789
483 부처님 열반재일 [6] 법륜거사 2017.03.11 2860
482 부처님 출가재일 [9] 법륜거사 2017.03.03 3146
481 교수님의 강의 중 6애(六愛) 관련 설명을 듣고 나서 [6] 대국 2017.02.28 3620
480 [마하나와 아슈람 공부모임] 카페를 개설하였습니다! [3] 대국 2017.02.20 3025
479 최봉수 교수님의 강의가 [4] songna 2017.02.07 3788
478 교수님 인터뷰 영상 - 공부하는 사람의 자세에 대한 교수님의 좋은 말씀이 있어 퍼왔습니다! [3] 대국 2017.02.04 3008
» 첫번째 경전, 아함경 - 최봉수 교수님 [월간해인-1992년 02월 12] [4] 대국 2017.01.24 4576
476 유럽 여행의 교훈 [4] 적조 2017.01.10 3326
475 I. 원형과 개방성 [12] 책임교수 2017.01.01 4820
474 II. 예수 교 vs. 교황 교 [10] 책임교수 2017.01.01 4523
473 III. 종교와 예술 [9] 책임교수 2017.01.01 3887
472 새해 복 많이많이~ 따따블로 받으세요~~ ^^ [6] 풍경소리 2016.12.31 2873
471 -인불회-대구집회 [7] 법륜거사 2016.12.30 3150
470 영남경전강독회 12월 모임입니다~ [8] 풍경소리 2016.12.14 3854
469 이제 얼마있음 졸업입니다 [4] 연꽃향기 2016.12.02 3355
468 동영상강의 속도 조절 되나요 [1] 상법 2016.11.29 3442
467 올 한해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4] roksac 2016.11.18 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