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11.02 08:49
![]()
처음 우리가 이 세상에 왔을 때
그리고 마지막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
우린 빈 손으로 왔으며 빈 손으로 가야한다는 것을 잘 압니다.
그러나 우린 대부분 태어남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본래로 비었던 손을
가득 채우는데에만 급급해 하며 세상을 살아갑니다.
우리네 인생의 목표가 어쩌면 그렇게 채우는 일일 터입니다.
한없이 내 것을 늘려 나가는,
끊임없이 닥치는대로 붙잡는 일일 터입니다.
돈을 붙잡으려 발버둥치고, 명예를, 지위를,
권력을, 지식을, 이성을...
그렇듯 유형무형의 모든 것들을 무한히 붙잡으며
이 한 세상 아둥바둥 살아갑니다.
그것이 우리네 삶의 모습입니다.
무한히 붙잡는 삶...
붙잡음으로 인해 행복을 얻고자 하는 삶...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우리가 그렇게 추구하고
갈구하려고 하는 ' '잡음!''
그 속에서 우리가 그렇게 버리고자 갈망하는 고(苦),
아! 괴로움!
괴로움이 시작됨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붙잡고자 하지만 잡히지 않을 때
괴로움은 우리 앞을 큰 힘으로 가로막게 될 것입니다.
이미 잡고 있던 것을 잃어버릴 때,
우린 괴로움과 한바탕 전쟁이라도 버려야 할 듯 합니다.
그것이 돈이든, 명예이든, 지식이든...
그 무엇이든 우리의 욕망을 가득 채워 줄 만큼
무한히 잡을 수 있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것을 우린 너무도 모르고 있는 듯 합니다.
''잡음''으로 인해 행복하고저 한다면
그 행복은 절대 이룰 수 없음이 진리의 참모습입니다.
인연따라 잠시 나에게 온 것 뿐이지
그 어디에도 내 것이란 것은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인연따라 잠시 온 것을
''내 것''이라하여 꽉 붙잡고 놓지 않으려 합니다.
바로 ''내 것''이라고 꽉 붙잡으려는
그 속에서, 그 아상(我相) 속에서, 괴로움은 시작됩니다.
'내 것''을 늘림으로 인해서는, 잡음''으로 인해서는
결코 행복이며, 자유, 진리를 구할 수 없습니다.
도리어 그동안 내가 얻고자 했던 붙잡고자 했던 그것을
놓음(放下着)으로써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무소유가 전체를 소유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놓음이 전체를 붙잡는 것입니다.
크게 놓아야 크게 잡을 수 있습니다.
''나'' ''내것''이라는 울타리를 놓아버려야
진정 내면의 밝은 ''참나''가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놓음...
방하착(放下着)은 지금까지 내가 살아왔던
삶과 어쩌면 정면으로 배치되는 삶이기에
힘들고 어려운 듯 느껴집니다.
그렇게 선입견을 녹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그러나 방하착(放下着)!! 그 속에
불교 수행의 모든 체계가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이 모두 들어 있습니다.
방하착... 방(放)은 ''놓는다''는 뜻이며,
착(着)은 ''집착, 걸림''을 의미합니다.
즉 본래 공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온갖 것들에 걸려
집착하는 것을 놓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특히 무아(無我)의 이치를 알지 못하고
''나'' ''내것''에만 끄달려 이를 붙잡으려하는
어리석은 아집(我執)을 놓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하(下)라는 것은 ''아래''라는 의미이지만
그 아래는 모든 존재의 가장 깊은 곳,
그 아래에 있는 뿌리와도 같은 우리의 참불성,
한마음, 본래면목, 주인공, 참나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일체 모든 끄달림, 걸림, 집착을 용광로와 같은 한마음
내 안의 참나의 자리에 몰록 놓으라는 것입니다.
일체중생이 행복 하길 축원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순간순간 찰라찰라
화평하시고 안정하소서!()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열시의 談禪 법회 [14] | 관리자 | 2013.07.29 | 126799 |
공지 | महानव십호장을 권합니다आश्रम [10] | 책임교수 | 2012.07.12 | 132905 |
공지 | महानव열 숟가락 운동आश्रम [40] | 관리자 | 2012.11.20 | 170872 |
공지 | 자유게시판 사용안내 [11] | 관리자 | 2012.05.05 | 151198 |
326 | 마하나와아슈람 [3] | 큰행복 | 2013.11.22 | 20770 |
325 | 마하나와 아슈람을 이용하시는 회원님들께 부처님의 가피가 가득 하기를 ...... [3] | uriho | 2013.11.20 | 20884 |
324 | 차한잔의여유~~ [3] | 큰행복 | 2013.11.19 | 20968 |
323 | 자신의 삶 [3] | 다니슬 | 2013.11.19 | 18347 |
322 | 관문사 31기 법우님들 안녕하세요 [3] | 이순태 | 2013.11.18 | 18242 |
321 | 감사합니다. 행복합니다. 사랑합니다. [3] | 황순례 | 2013.11.18 | 17155 |
320 | 가입인사~^^ [2] | 큰행복 | 2013.11.15 | 16691 |
319 | 보법, 이것이 불교이다. [3] | 현영희 | 2013.11.15 | 16670 |
318 | 회원님 법우님들 안녕하세요 [2] | 유병문 | 2013.11.13 | 17096 |
317 |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2] | 유병문 | 2013.11.12 | 16716 |
316 | 인연 [2] | 꽃분이 | 2013.11.12 | 17945 |
315 | 관문사 금불대에서 교수님 강의를 듣는건 행운이라 생각합니다. ^^ [3] | try120ap | 2013.11.12 | 16938 |
314 | 관문사 금강 불교대학 화이팅 [2] | 쑨짱요 | 2013.11.10 | 18405 |
313 | 종교 [3] | 복돼지 | 2013.11.09 | 16782 |
312 | 월요일을 기다리며~ [2] | 양파 | 2013.11.07 | 17840 |
311 | 서울금불대 31기 84번 현명희 [2] | 현명희 | 2013.11.06 | 18041 |
» | 처음 우리가 이 세상에 왔을 때 [3] | 다니슬 | 2013.11.02 | 19183 |
309 | 시월의 마지막날 간신히 합류 오애순 [3] | 쑨짱요 | 2013.11.01 | 18777 |
308 | 첫발을 디디며.... [3] | 수현법우 | 2013.10.31 | 17743 |
307 | 가입인사드립니다 [2] | 송소휘 | 2013.10.31 | 16900 |
짧은 시간에 책 한권읽은 메세지 받았습니다.
무아
이제 이해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