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국어

자유게시판

인터넷 불교 대학 마하나와 아슈람 열 숟가락 운동
자유 게시판

	강좌교재안내              
	학부강좌 및 대학원 강좌 교재를 출시하였습니다. 
	학습효과에 도움이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자세한사항은  이곳을 클릭하세요.
	**마하나와 아슈람은 판매대행만을 하고있습니다.

인도 문화 이해

2013.04.17 23:13

빤디트 조회 수:17463

1.  신분제도의 이해

 

인도의 신분제도는 4,000여년 전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성명으로 신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분에 따라 구별되는 힌두교 종교행사로 신분을 속이지 못하도록 장치화했습니다.

 

A. 상층 계급

 

    a. 브라만(종교인, 지주) 전체 인구의 5%

       (a) 뿌자리(Pujari) 브라만은 종교 행사를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으며 현대사회에 이들은 공무원, 의사, 변호사, 교수, 회계사 등의 전문직을 선호합니다.

     특징 : 지적이며 보시를 받는 것에 익숙합니다. 이들을 직원으로 채용할 경우 인도 전체 직원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단 커미션 받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b) 부미(bhumi) 브라만은 대지를 소유한 지주들이 많으며 이들은 농장관리, 전문직, 정치인 등을 선호합니다.

    특징 : 정직하며 노력파입니다. 이들을 직원으로 채용하면 지주로서 부하를 관리하는 능력을 타고났기에 상하조직의 엄격한 관리가 가능하며 정직하고 자존심이 강하여 부정을 취할 확률이 약합니다.

 

b. 차트리아(군인, 왕족) 전체 인구의 10%

       체격이 좋고 강직하여 군인, 공무원, 정치인, 기술직 등을 선호합니다.

       특징 : 강직하며 충성심이 강합니다. 이들은 기술직이나 개인능력을 발휘하는 업무에 적합하며 강직하여 부정을 일으킬 확률이 약합니다. 단 집단을 이끌려는 리더쉽이 있기에 노동조합을 형성할 염려가 있습니다.

 

    c. 바이샤(상인) 전체인구의 20%

       크고 작은 사업을 하는 계층으로 4000년간의 사업 노하우를 물려받아 상대하기 쉽지 않은 계층입니다. 다른 상층계급보다 학력수준이 뒤떨어지며 사업 또는 기술직 등에 종사합니다.

      특징 : 돈에 대한 동물적 감각 소유하고 실리주의를 취합니다. 이들에게는 사업가의 피가 흐르고 있기에 협상이 필요한 분야에 도움이 됩니다. , 의리가 없는 실리주의이기에 이직할 확률이 높습니다.

 

B. 하층 계급 전체인구의 27%

    이들은 정부기관, 학교 등에 특별코트를 배정받은 계층들로서 학력에 비하여 능력이 떨어집니다.

  

   a. 수드라(농민, 노동자)

       농업, 단순 기술직, 단순 업무 등에 종사합니다.

       특징 : 충성심, 집단주의. 개개인은 충성적이지만 집단을 형성하여 권리를 보호받길 선호하며 창의력이 약하여 저렴한 임금으로 단순직에 채용할 수 있습니다.

    b. 불가촉천민(schedule caste)

        육체적으로 할 수 있는 직종에 종사하며 교육수준이 아주 낮습니다.

        특징 : 사회 규범을 따르지 않는 성향이 강하며 단순 노동력이 필요한 분야에 적합하고 상식에서 벗어난 일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c. 지정부족(schedule tribal)

        산간지역이나 시골에 부족을 이루어 거주하는 계층.

        특징 : 개인 행동보다는 부족 단위로 움직이며 학력이 낮고 토속신앙을 믿습니다. 단 동북7성의 지정부족은 기독교화로 인하여 학력이 높고 영어가 유창하며 인종적 차별로 사내 업무에 적합하며 대외 업무에는 약합니다.

 

C. 그 외 계급 전체인구의 38%

   

    a. OBC(other backward classes)

      이들은 바이샤와 수드라에서 파생된 계급으로 목축업, 가내수공업, 소규모 판매업 등에 종사하며 SC, ST처럼 공무원 직업을 얻는데 특별쿼터가 있습니다.

      특징 : 대도시에서 이들을 접하기는 쉽지 않지만 이 계층의 공무원들이 실무직에서 활동합니다. 커미션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b. 비 힌두교들

      소외계층으로 힌두교,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를 제외한 계층들로서 기독교, 이슬람교, 배화교 등에 해당합니다. 배화교는 타타그룹으로 인해 부를 축척하고 기독교는 서민계층들이지만 영어가 유창하며 단순직에 종사하며 이슬람교는 가난하고 외부와의 교류가 약합니다.

      특징 : 힌두교들에게 종교적 차별을 받고 사내에서 화합하지 못하며 특별한 경우가 아닐 경우 채용하기 힘든 계층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저렴한 비용에 영어를 할수 있는 인력으로 단순직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지역적 이해

 

인도는 지리학적으로 히말라야 산간지역, 동북부지역, 북부지역, 중부지역, 남부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A. 히말라야 지역

   잠무 카시미르 지역은 이슬람 인구밀집 지역으로 이 지역 출신은 오랜 전쟁을 통한 진실성을 상실했습니다.

      특징 : 이 지역과 관련된 사업을 제외하고는 이 지역 출신은 채용하기 어렵습니다.

   히말찰과 우타란찰 지역은 히말라야를 이용한 관광산업이 성행하는 지역으로 이 지역 출신은 강한 체력과 우직함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특징 : 비밀을 지켜야 하는 분야와 체력을 요구하는 분야에 적합합니다.

 

B. 동북부지역

    방글라데쉬 옆 7개 주를 말하며 몽골리안 인종이고 대부분 기독교입니다. 영어가 유창하고 학력수준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징 :  한국인과 인종적 동질성을 느끼지만 힌두교들의 인종차별이 심합니다. 사내 업무나 물품관리 등에 적합하지만 대외 업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C. 북부지역

    판잡, 하리아나, 델리, UP, 비하르, 벵갈, 아삼, 라자스탄, 잘칸트 등으로 인도 문화의 중심지역입니다. 1,000년간 이슬람과 영국의 식민지 지역으로 척박한 기후와 오랜 기간 동안의 전쟁으로 인하여 생존을 위한 감각이 형성되었습니다.

    특징 : 머리가 우수함, 신체적 우월성, 외래문화 흡수력이 탁월함. 머리가 명석하여 관리자로 적합하지만 타 지역을 차별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D. 중부지역

    구자라트, MP, AP, 오리샤, 카르나타카, 마하라쉬트라, 치토스가르 등의 광할한 대지를 가진 지역으로 3기작이 가능한 풍요로운 농토 소유하고 연중 온화한 기후로 성격이 온순합니다. IT 발달 지역으로 엔진니어링 기술자가 풍부합니다.

    특징 :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는 분야에 적합하며 자신의 업무에 충실합니다.

 

E. 남부지역

 

   케랄라, 타밀라두 등의 드라비다 문화의 중심지역이고 인도의 선주민으로서 자존심이 강합니다. 북부 지역과는 문화 우월주의로 갈등하고 온화한 기후로 성격이 온순하며 전쟁의 역사를 겪지 않은 지역입니다. 머리는 우수하지 못하지만 성실합니다.

     특징 :  북부인도인과 융화가 어려우며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는 직종에 적합합니다. 또한 성실함과 책임감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합합니다.

 

3.  종교적 이해

 

A. 힌두교

    - 전체 인구의 85%

    -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 등 인도에서 발생한 종교 포함

    - 인도 정치, 경제를 선도하는 계층

    - 가족주의가 강함

    - 신분제도가 유효함

    - 상층계급은 학력수준이 높음

    - 개인의 이익보다는 소속집단의 이익을 우선으로 함

    - 특징 : 중요한 자리는 이들을 배치할 필요가 강함

 

B. 기독교(천주교 포함)

    - 전체 인구의 5%

    - 전반적 영어 수준이 같은 직종에 근무하는 계층보다 우수함

    - 소수민족으로 현 상황에 수긍하여 적응하는 계층

    - 지방에 대부분 분포됨

    - 특징 : 단순 업무나 기독교 관련 업무에 필요함

 

C. 이슬람교

     - 전체 인구의 10%

     - 타 종교와 융화가 불가능함

     - 학력수준이 낮고 배타적임

     - 파키스탄과의 분리로 인하여 우수인력은 파키스탄으로 이주함

     - 하층민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기 때문에 문화수준이 낮음

     - 힌두교에 대한 피해의식이 강함

     - 종교적 성향이 강함

     - 정직하고 성실함

     - 능력있는 인재가 소수임

     - 특징 : 타 종교와 융화가 어렵기에 직원으로 채용하기 부정적이며 이슬람 관련 사업에 적합함

 

D. 배화교

     - 전체 인구의 0.1% 미만

     - 영국 시대 때부터 부를 축척

     - 근친 결혼으로 우수 유전인자가 퇴색되고 있음

     - 타타그룹으로 인하여 현대기업 문화를 형성

     - 종교적 성향이 강함, 정직함

     - 특징 : 직원으로 채용하기는 어렵지만 사업 파트너로는 적합함

 

4.  교육적 이해

 

A. 인도 교육 제도

    , , 고등이 연결되는 12학년 제도, 대학은 3, 대학원은 석사, 준박사, 박사의 3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 대학의 이해

    인도에는 100여개의 대학과 수천 개의 전문기관들이 있으며 특히 국립 델리대학교를 예시로 설명합니다.

 

  a. 기본 정보   

     학생수 : 30만명

     교수 및 강사진 : 3만명

     단과대학 : 80개의 독립된 단과대학

     대학과정 : Honours course / pass course / correspondent course

     석사과정 : Honours course / correspondent course

     준박사/박사 과정 : Honours course

b. 학부과정 : 80개 단과대학 중 스테판, 키로리말, 힌두, 람자스, 미란다, 레이디 슈리람 등의 Honours 과정 출신이 우수한 인재입니다. correspondent 과정은 한국의 야간 학부와 비슷한 과정임으로 직업을 가진 자들이 대부분 수학합니다. Pass 과정은 학과의 지정없이 원하는 특정과목을 이수하는 과정입니다.

   

b. 석사과정 : Honours 과정과 correspondent 과정

     correspondent 과정은 한국과 야간 대학원과 비슷한 과정이며 석사과정에는 한국과는달리 석사논문이 없습니다. 시험 성적으로 졸업을 결정합니다. 3년 내에 졸업하지 못하는 중도 하차해야 합니다.

     특징 : 석사 Honours 과정에서 60점 이상의 성적으로 졸업한 자는 우수인력임

 

c. 준박사과정 : 1-2년 기간으로 코스 시험과 학위 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한국의 박사과정 수료와 비슷한 과정입니다.

      특징 : 55점 이상의 성적으로 졸업한 자는 우수한 연구인력임

 

d. 박사과정 : 5년 기간으로 학위 논문을 제출해야 하고 수업은 없으며 지도교수와 지속적인 상담을 통하여 논문을 연구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research member 출신은 중앙도서관에 지정석을 배정받기 때문에 다른 학과 연구생들과 친분을 강화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웍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특징 : 아주 우수한 연구인력으로 이용 가능함

 

인도직원들을 채용할 때는 학교 졸업장도 중요하지만 학과 성적과 어떤 과정을 이수했는지도 주의깊게 살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이력서에 부모의 성명, 직업, 출신지역, 출신학교 등 부모에 대한 기본정보도 직원의 성향이나 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원을 많이 채용하는 회사는 법대 출신의 상층 신분의 관리자를 둔다면 직원과 회사간의 사소한 법률적 분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열시의 談禪 법회 [14] 관리자 2013.07.29 126792
공지 महानव십호장을 권합니다आश्रम [10] 책임교수 2012.07.12 132899
공지 महानव열 숟가락 운동आश्रम [40] 관리자 2012.11.20 170867
공지 자유게시판 사용안내 [11] 관리자 2012.05.05 151195
186 부산금불대26기 이양숙입니다. [2] 금화 2013.04.19 15416
185 울산 정광사 금불대 10기 박경희(남자) 입니다 [2] 박경희(남자) 2013.04.18 17041
184 춘천삼운사 금불대10기 박명순입니다. [2] 순수하니 2013.04.18 15782
183 안녕하세요 [2] 이른안개 2013.04.18 14805
» 인도 문화 이해 [6] 빤디트 2013.04.17 17463
181 울산 정광사금불대 배효숙입니다. [3] 배효숙 2013.04.17 15574
180 부산금강불교대학26기1학년장현주 [3] 장현주 2013.04.17 15257
179 부산 금강불교대 1학년 86번 강인순입니다 [3] qkqh 2013.04.17 15600
178 교수님과 여러 법우님께 인사올립니다. [3] 이정 2013.04.17 15203
177 부산 금강불교대학 1학년 27번 송복남입니다. [3] boknam 2013.04.17 15735
176 부산금강불교대학 1학년 남귀현입니다. [3] 옆골목누나 2013.04.17 15424
175 부산 금불대 1학년 이재백 인사올립니다. [5] 이재백 2013.04.16 15439
174 인사 드립니다.. [4] 영깽이 2013.04.16 15279
173 [3] 다니슬 2013.04.16 15541
172 좋은인연 맺어주신 교수님 감사합니다. [3] 온세미 2013.04.15 15507
171 안녕하세요. 가입인사드립니다. [6] 꽁주 2013.04.13 15501
170 봄... [3] 다니슬 2013.04.13 15361
169 첫인사 [4] 모르포 2013.04.13 15535
168 마음이 깨끗한 까닭에 [4] 다니슬 2013.04.13 16135
167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한 듯 하여도... [4] 다니슬 2013.04.13 16174